한국 자동차 산업과 미국의 관세 폭탄: 위기인가, 기회인가?(일본 언론에서 바라본 한국자동차/현대자동차)
미국의 자동차 관세, 한국 자동차 산업을 위협하다
미국이 다시 자동차 관세 카드를 꺼내 들었다.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“미국 자동차 산업을 보호하겠다”며 한국 자동차에 20%의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.
한국 자동차 수출의 절반 이상이 미국으로 향하는 만큼, 이번 조치가 현실화되면 현대차와 기아를 포함한 국내 자동차 업계에 막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.
하지만 위기는 곧 기회이기도 하다. 한국 자동차 업계는 이 상황을 어떻게 돌파할 수 있을까?
한국 자동차 산업의 현실: 미국 의존도 50% 이상
🔹 미국 없이 성장할 수 있을까?
한국자동차모빌리티협회(KAMA)에 따르면, 2024년 한국 자동차 수출량의 52%가 미국으로 향했다.
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347억 4,400만 달러, 전체 자동차 수출액의 49.1%를 차지한다.
미국이 한국 자동차 업계에 사실상 최대 시장이라는 점을 감안하면, 관세 부과는 곧 한국 자동차 산업 전체에 치명적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.
🔹 미국에서 한국 차는 잘 팔리는데, 미국 차는 한국에서 잘 안 팔린다?
-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량
- 2020년: 82만 대 → 2024년: 143만 대 (73.6% 증가)
- 미국의 대한(對韓) 자동차 수출량
- 2020년: 6만 7,561대 → 2024년: 4만 4,296대 (감소)
한국산 자동차는 미국에서 점점 더 많이 팔리고 있지만, 미국산 자동차는 한국에서 점점 줄어들고 있다.
미국이 이를 문제 삼아 ‘불공정 무역’이라고 주장하는 이유다.
미국의 자동차 관세, 왜 다시 등장했나?
🔹 포드 CEO의 공개 저격: “왜 현대차에는 관세를 안 매기나?”
포드 CEO인 짐 팔리(Jim Farley)는 최근 뉴욕에서 열린 자동차 산업 컨퍼런스에서 다음과 같은 발언을 했다.
“왜 현대차와 도요타는 관세 없이 미국에서 장사할 수 있나?”
🚨 핵심 논점:
- 미국은 캐나다 &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에 25% 관세 부과 결정
- 그러나 한국과 일본 자동차는 여전히 무관세
- 미국 자동차 업계는 “이건 역차별이다”라며 강력 반발
결국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 자동차에도 관세를 부과하려는 움직임은 미국 자동차 회사들의 불만이 폭발한 결과다.
🔹 20% 관세 부과 시 한국 자동차 업계의 타격
S&P 글로벌의 분석에 따르면, 20%의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현대차와 기아의 영업이익이 최대 19%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.
🚨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모델
- 현대차: 소나타, 팰리세이드
- 기아: 쏘렌토, 스포티지
미국 소비자들은 결국 가격이 오른 한국 자동차 대신 일본차 또는 미국차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.
한국 자동차 업계의 대응 전략
① 미국 내 생산량 확대: ‘Made in USA’ 전략
현재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조지아주에 위치한 현대 메타플랜트 아메리카(HMGMA) 공장에서 자동차를 생산 중이다.
연간 57만 대를 생산하고 있지만, 이를 120만 대까지 늘릴 계획이다.
✔ 현지 생산 확대의 이점
✅ 관세 부과를 피할 수 있다
✅ 미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
✅ 미국 내 일자리 창출로 정치적 압박을 완화할 수 있다
② GM과의 협력: 미국 자동차 회사와 손잡기
현대차는 제너럴 모터스(GM)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, 전기 상용차를 공동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.
🚨 핵심 내용:
- 현대차의 전기차에 GM 브랜드를 붙여 판매 가능성
- 전기차 시장에서 미국 소비자들에게 더 익숙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
미국 자동차 회사와 협력하면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.
③ 한국 정부의 대응: 새로운 협상 카드 준비
한국 정부와 자동차 업계는 두 가지 대안을 논의 중이다.
1️⃣ 자동차 수출 쿼터제 도입 – 일정 물량까지는 관세 없이 수출하는 방안
2️⃣ 차종별 차별화된 관세 적용 – 승용차와 전기차는 낮은 관세, 픽업트럭은 높은 관세 적용
하지만, 이런 협상이 미국 측에 받아들여질지는 미지수다.
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을까?
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활 가능성은 한국 자동차 업계에 심각한 도전 과제를 던지고 있다.
그러나 이 위기를 극복할 전략을 철저히 준비한다면, 오히려 미국 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기회로 만들 수도 있다.
🚀 이번 사태를 기회로 바꾸는 방법:
1️⃣ 미국 현지 생산 확대
2️⃣ GM과의 협력 등 글로벌 전략 강화
3️⃣ 한국 정부의 전략적 협상 대응
✅ 최종 결론:
위기는 준비된 기업에게만 기회가 된다.
한국 자동차 업계는 이 변화를 기회로 만들 준비가 되어 있는가?